格言 銘言모음.

퇴고(推敲)

별관신사 2016. 10. 15. 06:40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李凝幽居〉

민다, 두드린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을 이르는 말.

당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자는 낭선(浪仙),777~841]가 어느 날, 말을 타고 가면서
〈이응의 유거에 제함[題李凝幽居]〉이라는 시를 짓기 시작했다.

이웃이 드물어 한거하고 [閑居隣竝少(한거린병소)]

풀숲 오솔길은 황원에 통하네 [草徑入荒園(추경입황원)]

새는 연못가 나무에 잠자고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중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그런데 마지막 구절인 ‘중은 달 아래 문을……’에서 ‘민다[推]’라고 하는 것이 좋을지 ‘
두드린다[敲]’라고 하는 것이 좋을지 여기서 그만 딱 막혀 버렸다. 그래서 가도는 ‘민다’‘
두드린다’는 이 두 낱말만 정신없이 되뇌며 가던 중 타고 있는 말이 마주 오던 고관의
행차와 부딪치고 말았다.

“무례한 놈! 뭣하는 놈이냐?”

“당장 말에서 내려오지 못할까!”

“이 행차가 뉘 행찬 줄 알기나 하느냐?”

네댓 명의 병졸이 저마다 한 마디씩 내뱉으며 가도를 말에서 끌어내려 행차의 주인공인
고관 앞으로 끌고 갔다. 그 고관은 당대(唐代)의 대문장가인 한유(韓愈)로, 당시 그의 벼슬은
경조윤(京兆尹:도읍을 다스리는 으뜸 벼슬)이었다.

한유 앞에 끌려온 가도는 먼저 길을 비키지 못한 까닭을 솔직히 말하고 사죄했다. 그러자
한유는 노여워하는 기색도 없이 잠시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내 생각엔 역시 ‘민다’는 ‘퇴(推)’보다 ‘두드린다’는 ‘고(敲)’가 좋겠네.”

이를 계기로 그후 이들은 둘도 없는 시우(詩友)가 되었다고 한다.

[주] 가도 : 당나라의 시인. 하북성 범양(河北省范陽) 사람. 자는 낭선(浪仙). 일찍이 불문(佛門)에
들어감. 법명(法名)은 무본(無本). 한유(韓愈)와의 사귐을 계기로 환속(還俗)한 후 시작(詩作)에 전념함.

'格言 銘言모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호빙하(暴虎馮河)  (0) 2016.10.16
파죽지세(破竹之勢)  (0) 2016.10.16
토사구팽(免死狗烹)  (0) 2016.10.15
태산북두(泰山北斗)  (0) 2016.10.14
타산지석(他山之石)  (0) 2016.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