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馬耳東風)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유사어] 우이독경(牛耳讀經). 오불관언(吾不關焉). 대우탄금(對牛彈琴). [출전]《李太白集》〈券十八〉 말의 귀에 동풍(東風:春風)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림의 비유. ② 무슨 말을 ..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마부작침(磨斧作針) 磨:갈 마. 斧:도끼 부. 作:지을(만들) 작. 針:바늘 침. [동의어] 철저성침[鐵杵成針(鍼)]. 마저작침[磨杵作針(鍼)]. [유사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수적천석(水滴穿石). [유사어]《唐書》〈文藝(苑)傳〉.《方與勝覽(방여승람)》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 곧 ①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등용문(登龍門) 登:오를 등. 龍:용 룡. 門:문 문. [반의어] 점액(點額). 용문점액(龍門點額). [출전]《後漢書》〈李應傳〉 용문에 오른다는 뜻. 곧 ① 입신 출세의 관문을 일컫는 말. ② 영달의 비유. ③ 주요한 시험의 비유. ④ 유력자를 만나는 일. 용문(龍門)은 황하(黃河) 상류의 산서성(山西省)과 섬서성(..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득록망촉(得隴望蜀) 得:얻을 득. 隴:땅 이름 롱. 望:바랄 망. 蜀:나라 이름 촉. [준말] 망촉(望蜀). [동의어] 평롱망촉(平隴望蜀), 망촉지탄(望蜀之歎). [유사어] 계학지욕(谿壑之慾), 차청차규(借廳借閨), 거어지탄(車魚之歎),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참조]계륵(谿肋). [출전]《後漢書》〈光武記〉〈獻帝..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동호지필(董狐之筆) 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의). 筆:붓 필. [동의어] 태사지간(太史之簡). [출전]《春秋左氏傳》〈宣公二年條〉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동병상련(同病相憐) 同:한가지 동. 病:앓을 병. 相:서로 상. 憐:불쌍히 여길 련. [유사어] 동우상구(同優相救), 동주상구(同舟相救), 동기상구(同氣相救), 동악상조(同惡相助),동류상구(同類相救), 오월동주(吳越同舟), 유유상종(類類相從). [참조] 와신상담(臥薪賞膽).[출전]《吳越春秋》〈闔閭內傳〉 같은 병을 ..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독안룡(獨眼龍) 獨:홀로 독. 眼:눈 안. 龍:용 룡. [출전]《五代史》〈唐記〉,《唐書》〈李克用傳〉 애꾸눈의 용이란 뜻. 곧 ① 애꾸눈의 영웅 또는 용맹한 장수. ② 애꾸눈의 고덕(高德)한 사람. 당나라 18대 황제인 희종(僖宗:873~883)때의 일이다. 산동(山東) 출신인 황소(黃巢)는 왕선지(王仙芝) 등과 반란..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도청도설(道聽塗說) 道:길 도. 聽:들을 청. 塗:길 도. 說:말씀 설. [유사어] 구이지학(口耳之學), 가담항설(街談巷說), 유언비어(流言蜚語). [출전]《論語》〈陽貨篇〉,《漢書》〈藝文志〉,《荀子》〈勸學篇〉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뜻. 곧 ① 설들은 말을 곧바로 다른 사람에게 옮김. ② 길거리에 떠돌..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도외시(度外視) 度:법도 도. 外:바깥 외. 視:볼 시. [유사어] 치지도외(置之度外). [반의어] 문제시(問題視). [참조] 오합지중(烏合之衆), 정중지와(井中之蛙). [출전]《後漢書》〈光武記〉 ① 가욋것으로 봄.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함. ② 문제삼지 않음. 불문에 붙임. 후한의 시조 광무제(光武帝)때의 일이다.. 格言 銘言모음. 2012.11.15
대의멸친(大義滅親) 大:클 대. 義:옳을 의. 滅:멸할 멸. 親:친할‧육친 친. [출전]《春秋左氏傳》〈隱公三‧四年條〉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는 뜻으로,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의 정도 돌보지 않는다는 말.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환왕(桓王) 원년(元年:B.C.719)의 일이다. 위(衛).. 格言 銘言모음. 201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