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최종 목적은 우주를 움직이는 위대한
시계장치의 메카니즘들을 묘사하고 설명할 수
있는 단일한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로 모든것의 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무한히 작은 세계의 물리학(미시물리학)
과 무한히 큰 세계(거시물리학)을 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으며 이를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다음의 네 힘간의 관계를 규명하려 애쓴다.
만유인력, 질량이 있는 물체 사이의 힘,
전자기력 전자기장과 전하를 띤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 약한 핵력(중성자가 양성자와 전자로
나눠지는) 베타붕괴 현상에 관여하는 힘.
강한 핵력, 퀴크, 글루온. 등의 소립자들이 서로 끌어
당기는 힘, 알베르트 슈타인은 1910년대 <통일장 이론>
이라는 이름의 이러한 이론에 대해 처음 접근하기
시작했고 이후 죽을 때까지 네 힘을 통합할 수 있는
원리를 찿아내려 애썼지만 고전 물리학으로는 원자같은
극미 세계와 행성같은 극대 세계를 화해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이제 양자역학의 부상과 새로운 입자
들의 발견으로 인해 <모든 것의 이론>을 위한 새로운
길들이 열리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유망한 것인 <초끈이론>은 통상적인
4차원이 아닌 10차원 이상의 우주를 제의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입자들은 더 이상 구체 형태로 된
하나의 우주 형태로 된 우주 안이 아닌 서로 포개져 있으며
우주적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종이같은 우주들> 안에서
순환하고 있다고 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