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청각 메뚜기와 귀뚜라미의 머리에는 귀가 없으며, 다른 친구들이 내는 특별한 소리를 듣기 위한 청각 기관은 몸의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메뚜기의 청각 기관은 배의 양쪽에 있으며, 귀뚜라미는 보통 앞발에 있다. 冊 속의 冊 2015.01.13
곤충의 피와 심장 곤충의 혈액은 빨간색이 아니다. 대개 무색이거나 엷은 노랑색이거나 초록색이다. 가끔 그 몸을 뭉갰을 때 빨간색의 액체가 나오는 것을 발견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곤충이 다른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아먹은 것이 나오는 것이라고 보면 좋을 것이다. 곤충에게는 단지 정맥만이 존재한.. 冊 속의 冊 2015.01.13
먹지 않고 살아가는 곤충 좀, 하루살이, 미지 등은 위가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먹지 않고 살아간다. 좀의 수명은 7일, 하루살이는 6시간, 미지는 12시간이다. 冊 속의 冊 2015.01.12
바퀴벌레의 생명력 바퀴벌레의 종류는 약 3,500가지이다. 바퀴벌레는 종이, 풀, 비누, 같은 것을 먹고도 살 수 있고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해도 5개월은 버틸 수 있다. 방사선에도 죽지 않고 48시간 동안 냉동된다 해도 여전히 살아날 수 있다. 冊 속의 冊 2015.01.12
누에는 몸 길이의 12,000배 되는 실을 뽑아낸다 누에는 나방의 유충으로, 자신의 고치를 만들기 위하여 1,000m가 넘는 노란색 또는 흰색의 매끄러운 실을 뽑아내어 자신의 몸을 단단히 둘러싼다. 이것은 키가 183cm인 사람이 길이가 24km나 되는 실을 뽑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누에의 알은 매우 작아서 35,000개가 모여도 28g 정도밖에 되지 않.. 冊 속의 冊 2015.01.11
가장 많이 먹는 식충 자연이 만든 가장 효율적인 '먹는 기계'는 북아메리카의 폴리페무스나방의 유충이다. 이 유충은 알에서 깨어난 지 48시간 안에 당시 몸무게의 27,300배에 달하는 양을 먹어치운다. 사람으로 환산하면 10kg의 아이가 300톤의 음식물을 먹어치우는 것과 같다. 冊 속의 冊 2015.01.11
암컷을 찾아내는 예민한 후각 산누에나방과 기타 다른 누에나방 종의 수컷은 동물 세계에서 특별히 예민한 후각을 지닌다고 한다. 수컷은 깃털처럼 생긴 한쌍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코 같은 일반적 후각 기관이 아니라 오직 암컷의 페로몬 분비에만 반응하는 더듬이로, 수컷은 500m나 떨어진 암컷의 암내도 .. 冊 속의 冊 2015.01.11
비 오는 날의 나비 비가 오면 나비는 풀잎이나 나뭇잎 사이에 숨어서 피한다. 떨어진 빗방울이 굴러떨어져서 몸 속으로 흡수되지 않게 되어 있다. 하지만 폭우가 몰아치면 살아 남기 어렵다. 冊 속의 冊 201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