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학려(風聲鶴唳)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唳:학울 려. [출전] ≪晉書≫ ≪謝玄載記≫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동진(東晉:317~420)의 9대 효무제(孝武帝) 때인 태원(太元) 8년(383)의 일이다.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 格言 銘言모음. 2016.10.17
포호빙하(暴虎馮河) 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 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공자의 3000여 제자.. 格言 銘言모음. 2016.10.16
파죽지세(破竹之勢) 破:깨뜨릴‧깨어질 파. 竹:대나무 죽. 之:갈 지(…의). 勢:기세‧형세 세. [동의어] 영인이해(迎刃而解), 세여파죽(勢如破竹). [출전]《晉書》〈杜預專〉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 格言 銘言모음. 2016.10.16
퇴고(推敲) 推:밀 퇴‧옮을 추. 敲:두드릴 고 [출전]《唐詩紀事》〈卷四十 題李凝幽居〉 민다, 두드린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을 이르는 말. 당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자는 낭선(浪仙),777~841]가 어느 날, 말을 타고 가면서 〈이응의 유거에 제함[題.. 格言 銘言모음. 2016.10.15
토사구팽(免死狗烹) 免: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 [원말] 교토사 양구팽(狡免死良狗烹) [동의어] 야수진 엽구팽(野獸盡獵狗烹) [유사어] 고(비)조진 양궁장[高(飛)鳥盡良弓藏]. [출전]《史記》〈淮陰侯列傳〉,《十八史略》,《韓非子》〈內儲說篇〉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 格言 銘言모음. 2016.10.15
태산북두(泰山北斗) 泰:클 태. 山:메 산. 北:북녘 북. 斗:말‧별자리 두. [준말] 泰斗(태두). 山斗(산두). [동의어] 여태산북두(如泰山北斗). [출전] ≪唐書≫ 〈韓愈傳贊〉 태산과 북두칠성을 가리키는 말. 곧 ① 권위자. 제일인자. 학문‧예술 분야의 대가. ② 세상 사람들로부터 우러러 받듦을 받거나 가장.. 格言 銘言모음. 2016.10.14
타산지석(他山之石) 他:다를 타. 山:메 산. 之:갈 지(…의). 石:돌 석. [원말] 타산지석 가이공옥(可以攻玉). [유사어] 절차탁마(切磋琢磨), 공옥이석(攻玉以石). [출전]《詩經》〈小雅篇〉 다른 산의 거친(쓸모 없는) 돌이라도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 곧 ①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格言 銘言모음. 2016.10.14
칠보지재(七步之才) 七:일곱 칠. 步:걸음 보. 之:갈 지(…의). 才:재주 재. [동의어] 칠보재(七步才), 칠보시(七步詩). [유사어] 의마지재(倚馬之才), 오보시(五步詩). [출전]《世說新語》〈文學篇〉 일곱 걸음을 옮기는 사이에 시를 지을 수 있는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삼국 시대의 영.. 格言 銘言모음. 2016.10.13
치인설몽(癡人說夢) 癡:어리석을 치. 人:사람 인. 說:말씀 설, 달랠 세. 夢:꿈 몽. [원말] 대치인몽설(對癡人夢說). [동의어] 치인전설몽(癡人前說夢). [출전]《冷齋夜話》〈卷力〉,《黃山谷題跋》 바보에게 꿈 이야기를 해준다는 뜻. 곧 ① 어리석기 짝이 없는 짓의 비유. ② 종작없이 지껄이는 짓의 비유. ③ 이.. 格言 銘言모음. 2016.10.13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逐:쫓을 축. 鹿:사슴 록. 者:놈 자. 不:아니 불. 見:볼 견. 山:메 산. [동의어] 축수자목불견태산(逐獸者目不見太山). [출전]《淮南子》〈說林訓篇〉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명예와 이욕(利慾)에 미혹(迷惑)된 사람은 도리도 저버림. ② 이욕에 눈이 먼 사람은 눈앞.. 格言 銘言모음. 201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