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준말] 조삼(朝三).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출전]《列子》〈黃帝篇〉,《莊子》〈齊物論〉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 格言 銘言모음. 2016.09.25
조명시리(朝名市利) 朝:아침‧조정 조. 名:이름‧이름날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리. [유사어] 적시적지(適時適地). [참조] 일거양득(一擧兩得). [출전]《戰國策》〈秦策〉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市場]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진(秦)나라 혜문왕(.. 格言 銘言모음. 2016.09.24
조강지처(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원말]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전한(前漢)을 찬탈한 왕망(王莽)을 멸하고 유씨(劉氏) 천하를 재흥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 格言 銘言모음. 2016.09.22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원말] 정중와 부지대해(井中蛙不知大海). [준말] 정와(井蛙). [동의어] 정와(井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감정지와(坎井之蛙). [유사어]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 [참조] 망양지탄(望洋之嘆), 득롱망촉(得.. 格言 銘言모음. 2016.09.10
절차탁마(切磋琢磨) 切:끊을‧자를 절. 磋:탄식할‧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상아‧옥‧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 格言 銘言모음. 2016.09.09
전화위복(轉禍爲福) 轉:구를 전. 禍:재화 화. 爲:할‧위할 위. 福:복 복. [대응어]~인패위공(因敗爲功). [동의어] 인화위복(因禍爲福). [유사어] 새옹지마(塞翁之馬). [출전]《戰國策》〈燕策〉 ① 화(禍)를 바꾸어 오히려 복(福)이 되게 함. ②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전국시대 합종책(合從策)으로 6국, .. 格言 銘言모음. 2016.09.08
전차복철(前車覆轍) 前:앞 전. 車:수레 차‧거. 覆:엎어질 복. 轍:바퀴자국 철. [준말] 복철(覆轍). [대응어]~후차지계(後車之戒). [동의어] 전차복 후차계(前車覆後車戒), 후차지계, 복거지계(覆車之戒). [유사어] 답복철(踏覆轍), 답복차지철(踏覆車之轍), 전철(前轍).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출전]《漢書.. 格言 銘言모음. 2016.09.07
전전긍긍(戰戰兢兢) 戰:무서워 떨‧싸움할 전. 兢:조심할 긍. [준말] 전긍(戰兢). [동의어] 전전공공(戰戰恐恐). [유사어] 소심익익(小心翼翼). [출전]《詩經》〈小雅篇〉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전전(戰戰)이란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떠는 모양이고, 긍긍(兢兢)이란 몸을 움추리고 조심하는 모양을 .. 格言 銘言모음. 2016.09.06
자포자기(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국 시대를 살다간 아성(亞聖) 맹자(孟子)는 ‘자포’‘자기’에 대해《맹자》 〈이루편(離婁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자포(自暴:.. 格言 銘言모음. 2016.09.06
일자천금(一字千金) 一:한 일. 字:글자 자. 千:일천 천. 金:쇠 금. [유사어] 일자백금(一字百金). [출전]《史記》〈呂不韋列傳〉 한 글자엔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아주 빼어난 글자나 시문(時文)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국 시대 말엽,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과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은 각 수천 .. 格言 銘言모음. 2016.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