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하빙인(月下氷人) 月:달 월. 下:아래 하. 氷:얼음 빙. 人:사람 인. [동의어] 월하로(月下老), 빙상인(氷上人), 빙인(氷人). [유사어] 적승(赤繩). [출전]《續幽怪錄》,《晉書》〈索耽篇〉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이 합쳐진 것으로, 결혼 중매인을 일컫는 말. ① 당나라 2대 황제인 태종(太宗)때의 이야기.. 格言 銘言모음. 2016.08.29
월단평(月旦評) 月:달 월. 旦:아침 단. 評:평론할 평. [준말] 월단(月旦). [동의어] 월조평(月朝評). [출전]《後漢書》〈許劭專〉 ‘매달 첫날의 평’이란 뜻으로, 인물에 대한 비평을 일컫는 말. 후한(後漢) 말, 12대 황제인 영제(靈帝:167~189) 17년(184)에 일어난 ‘ 황건(黃巾)의 난(亂)’ 때 큰 공을 세운 .. 格言 銘言모음. 2016.08.29
원입골수(怨入骨髓) 怨:원망할 원. 入:들 입. 骨:뼈 골. 髓:골수 수. [원말] 원입어골수(怨入於骨髓). [동의어] 원철골수(怨徹骨髓), 한입골수(恨入骨髓). [출전]《史記》〈秦本紀〉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원한이 마음 속 깊이 맺혀 잊을 수 없다는 말. 춘추시대 오패(五霸)의 한 사람인 진(秦)나라 .. 格言 銘言모음. 2016.08.28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遠:멀 원. 水:물 수. 不:아니 불. 救:구원할 구. 近:가까울 근. 火:불 화. [출전]《韓非子》〈說林篇〉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 《한비자(韓非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 格言 銘言모음. 2016.08.27
원교근공(遠交近攻) 遠:멀 원. 交:사귈 교. 近:가까울 근. 攻:칠 공. [참조] 누란지위(累卵之危). [출전]《史記》〈范雎列傳〉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책사(策士)인 범저(范雎)는 제(齊)나라와 내통하고 있다는 모함에 빠져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으나 .. 格言 銘言모음. 2016.08.26
우공이산(愚公移山) 愚:어리석을 우. 公:귀 공. 移:옮길 이. 山:메 산. [유사어] 마부작침[磨斧作針(鍼)], 수적천석(水適穿石), 적토성산(積土成山). [출전]《列子》〈湯問篇〉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춘추 시대의 사상가 열자[列子:이름은 어.. 格言 銘言모음. 2016.08.25
요령부득(要領不得) 要:종요로울‧구할 요. 領:옷깃‧요소 령. 不:아니 불. 得:얻을 득. [출전]《史記》〈大宛專〉,《漢書》〈張騫專〉 사물의 중요한 부분을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말이나 글의 요령을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전한(前漢)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의 일이다. 당시 만리장성 밖은 수.. 格言 銘言모음. 2016.08.25
요동지시(遼東之豕) 遼:멀‧나라 이름 요. 東:동녘 동. 之:갈 지(…의). 豕:돼지 시. [준말] 요시(遼豕). [동의어] 요동시(遼東豕). [출전]《文選》〈朱浮書〉,《後漢書》〈朱浮專〉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오만한 탓에 하찮은 공을 득의 양양하여 자랑함의 비유. 후한(後漢) 건국 직후, 어양.. 格言 銘言모음. 2016.08.24
완벽(完璧) 完:완전할 완. 璧:둥근 옥 벽. [동의어] 완조(完調). [유사어] 화씨지벽(和氏之壁), 연성지벽(連城之壁). [출전]《史記》〈藺相如列傳〉,《十八史略》〈趙篇〉 ① 흠이 없는 구슬[壁:환상(環狀)의 옥(玉)]. 결점 없이 훌륭함. ② 빌려 온 물건을 온전히 돌려보냄. 전국 시대, 조(趙)나라 혜문왕(.. 格言 銘言모음. 2016.08.24
와신상담(臥薪嘗膽) 臥:누울 와. 薪:섶(땔)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게 담. [유사어] 회계지치(會稽之恥), 절치액완(切齒扼腕). [출전]《史記》〈越世家〉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의 비유. 춘추 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취리[欈李:절.. 格言 銘言모음. 2016.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