格言 銘言모음.

권토중래(捲土重來)

별관신사 2012. 11. 15. 11:26

捲:걷을‧말 권. 土:흙 토. 重:무거울‧거듭할 중. 來:올 래.

[원말] 권토중래(卷土重來)

[참조] 선즉제인(先則制人), 건곤일척(乾坤一擲), 사면초가(四面楚歌).

[출전] 두목(杜牧)의 시〈題烏江亭〉

흙먼지를 말아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한 사람이 세력을 회복해서 다시 공격(도전)해 온다는 말.

이 말은 당나라 말기의 시인 두목(杜牧:803~852)의 시〈제오강정(題烏江亭)〉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으니 [勝敗兵家不可期(승패병가불가기)]

수치를 싸고 부끄럼을 참음이 남아로다 [包羞忍恥是男兒(포수인치시남아)]

강동의 자제 중에는 준재가 많으니 [江東子弟俊才多(강동자제준재다)]

‘권토중래’는 아직 알 수 없네 [捲土重來未可知(권토증래미가지)]

오강[烏江:안휘성(安徽省)내]은 초패왕(楚霸王) 항우(項羽:B.C. 232~202)가 스스로 목을 쳐서 자결한 곳이다. 한왕 유방(劉邦)과 해하(垓下:안휘성 내)에서 펼친 ‘운명과 흥망을 건 한판 승부[乾坤一擲]’에서 패한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가 정장(亭長)으로부터 “강동(江東:江南, 양자강 하류 이남의 땅)으로 돌아가 재기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그러나 항우는 “8년 전(B.C. 209) 강동의 8000여 자제와 함께 떠난 내가 지금 혼자 ‘무슨 면목으로 강을 건너 강동을 돌아가[無面 江東]’ 부형을 대할 것인가”라며 파란 만장한 31년의 생애를 마쳤던 것이다.

항우가 죽은 지 1000여년이 지난 어느 날, 두목은 오강의 객사(客舍)에서 일세의 풍운아(風雲兒),

'格言 銘言모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인지우(杞人之優)  (0) 2012.11.15
금의야행(錦衣夜行)  (0) 2012.11.15
군자삼락(君子三樂)  (0) 2012.11.15
군맹무상(群盲撫象)  (0) 2012.11.11
국사무쌍(國士無雙)  (0) 2012.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