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과 남극 북극에는 모든 방향이 다 남쪽이며 육지가 없고 모든 것이 얼음 위에 떠 있다. 남극 대륙은 영원히 녹지 않을 두꺼운 얼음으로 둘러싸여 있다. 冊 속의 冊 2014.09.02
따뜻한 물이 흐르는 강 적도 근처에 근원이 있고 온대 지방으로 흘러 가는 세계에서 단 하나 뿐인 나일강은 세계에서 가장 따뜻한 물이 흐르는 강이다. 그러나 829년 1010년에는 꽁꽁 얼어붙었다. 冊 속의 冊 2014.08.30
적도 지방은 언제나 더운가? 적도란 지구의 양극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상상의 선이다. 보통 양극에서 멀어질수록 더워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적도 지방이 가장 더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싱가포르는 극동 지방이 도시로 적도에 상당히 가까워 1년 내내 덥고 습기가 많으며, 연중 약 27도.. 冊 속의 冊 2014.08.30
여름이 없었던 해 1816년은 나폴레옹이 모스크바를 정복하려다 실패한 지 4년이 되는 해로서, 그해 여름 톰보로 화산이 폭발하여 그 먼지가 온 세계를 뒤덮었다. 그래서 태양의 빛이 땅에 닿지 않아 세계의 기후가 바뀌었다. 비가 내리지 않고 눈이 내렸으며 곡물은 모두 제대로 되지 않았다. 미국, 헝가리, .. 冊 속의 冊 2014.08.30
2.54cm이 강우량은 102톤이 넘는다 일기 예보에서 비가 2.54cm 내렸다고 할 때, 그 의미는 무엇인가? 만약 2.54cm의 비가 1에이커의 땅에 내렸다면 1에이커는 4,047제곱미터이므로 내린 비의 양은 102,790리터가 되는 것이다. 물의 밀도에 따라서 무게도 달라지겠지만 대체로 1입방피트의 물은 28.3kg에 해당한다. 따라서 1에이커에 .. 冊 속의 冊 2014.08.30
번개 때문에 우박이 내린다 우박은 겨울에는 내리지 않고 여름에만 내린다. 즉 우박은 번개가 일어나야 생기는 것으로 겨울에는 번개가 발생할 만한 조건이 없고, 또 기온이 빙점이하고 내려가 버리면 우박이 생길 수 없다. 따라서 우박은 일반적으로 여름에만 내리게 되는 것이다 冊 속의 冊 2014.08.29
번개가 칠때 나무 밑에 숨어서는 안 된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10년 동안 68번 번개에 얻어맞았고 독일 베를린시의 페추리 교회는 같은 날 두번이나 번개에 맞아 완전히 타버리고 말았다. 나무의 수액은 전기의 전도체이므로 나무 밑에 서 있는 것은 번개 치는 날 수영장 안에 있는 것만큼이나 위험하다. 冊 속의 冊 2014.08.29
번개는 여자보다 남자를 칠가능성이 6배가 더 높다고 한다. 번개는 여자보다 남자를 더 좋아하는 것 같다. 남자라면 번개에 맞을 가능성이 200만 분의 1 이지만, 여자라면 1,200만 분의 1밖에 안 된다. 冊 속의 冊 2014.08.29
번개에 얻어맞고 있는 지구 번개는 1초에 1000번 정도 지구를 강타한다. 이것은 하루에 86,400번 정도의 번개가 도처에서 지구를 치고 있는 셈이 된다. 冊 속의 冊 2014.08.29
왜 겨울이 여름보다 추운가 보통 사람들은 여름에 지구가 태양에서 가장 가깝고 겨울에는 지구가 태양에서 가장 멀기 때문에 겨울이 여름보다 춥다고 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사실 태양은 겨울에 지구에서 가장 가깝고, 여름에는 가장 멀다. 천문학에서는 어떤 행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때를 근.. 冊 속의 冊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