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붕어의 아름다움의 비결 금붕어의 아름다운 황금빛 색깔은 어두운 어항이나 흐르는 시냇물 같은 곳에서 변화한다. 그 빛나는 금빛 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못이나 혹은 조명을 받는 어항 속에서 살게 해야 한다. 冊 속의 冊 2014.12.21
날지 못하는 새들 (화식조) 화식 조는 크기에 있어 타조와 에무(타조와 외형이 비슷한 새)를 능가하는 큰 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숲속과 파푸아의 섬에서 서식하는 화식조는 과일 열매들과 곤충들, 혹은 작은 동물들을 먹이로 삼고 있다. 3개의 발가락의 맨 안쪽에는 면도칼같이 날카로운 발톱이 있는데, .. 冊 속의 冊 2014.12.20
벌새의 거대한 신진대사 벌새는 맥박이 1분에 500번 뛰며, 흥분하면 1,200번 뛴다. 이에 비해 타조는 38번 뛴다. 인간의 호흡이 1분에 16번, 비둘기가 25번인 데 비해 벌새는 250번이나 숨을 쉰다. 또한 다른 일반 새들의 맛봉오리의 수는 40--60개인 데 비해 벌새의 그것은 10,000개나 된다. 그러나 너무 빨리 음식을 삼키므.. 冊 속의 冊 2014.12.20
벌새의 무게와 에너지 소비량 가장 큰 벌새의 무게는 20g 정도이다. 그러나 가장 작은 벌새의 무게는 2g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이 벌새의 알 125개의 무게가 보통 우리가 먹는 계란의 무게와 비슷하다. 또한 벌새의 에너지 소비량은 하루에 10kcal정도이다. 인간이 하루에 2,500kcal를 소모해야 하는 점과 비교할 때, 벌새의.. 冊 속의 冊 2014.12.19
일찍 일어나는 새들 새벽 4시만 지나면 벌써 지빠귀가 지저귀는 소리가 들려온다. 3시쯤에 들려오는 휘파람 소리 같은 노랫소리는 메추라기의 지저귐이다. 블랙 캡이라고 불리는 머리가 까만 새는 4시쯤에 나무 사이에서 지저귄다. 집 주위에 서식하는 참새나 박새들은 실상 아침 새중에서 가장 늦게 깨는 새.. 冊 속의 冊 2014.12.18
새들도 노래하는 장소가 따로 있다 새들은 거의 예외 없이 땅에 내려서는 노래하지 않는다. 새들은 날아다니면서, 또는 지면 위의 물체에 앉아서 노래한다. 이에 대한 예외로는 해변의 고깜루떼새와 미국 들참새가 있다. 冊 속의 冊 2014.12.18
어미보다 무거운 새끼 섬새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헌신적인 어미를 가진 동물은 어린 섬새일 것이다. 어미 섬새는 한 마리의 새끼 섬새가 어미보다 더 크고 뚱뚱해질 때까지 먹이를 먹인다. 이렇게 되고 나면 어미는 멀리 날아가 벌리지만, 새끼는 너무 뚱뚱하고 어려서 스스로 먹이를 찾아 나설 수 없게 된다. 그러.. 冊 속의 冊 201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