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봉새는 실로 둥지를 꿰맨다 인도의 재봉새는 아주 특별한 둥지를 만든다. 재봉새 수컷이 나뭇가지 끝 근처 가까이 있는 나뭇잎 2장을 발견하면 자신의 부리를 바늘삼아 나뭇잎 둘레에 구멍을 뚫어놓은 다음 얇은 야채 섬유를 이용하여 2장의 나뭇잎을 꿰맨다. 이 주머니 같은 둥지 안에 면 같은 솜털을 깔고 재봉새 .. 冊 속의 冊 2014.12.14
고독한 비둘기 암비둘기는 혼자 있으면 알을 낳지 못한다. 난소의 기능이 활발해야만 알을 낳을 수 있는데, 이러기 위해서는 다른 비둘기를 보거나, 다른 비둘기가 없을 때에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라도 보아야 한다. 冊 속의 冊 2014.12.14
레이더로 새를 추적한다 조류학자들은 한때 둥근 달을 배경으로 날아가는 철새들을 새어보기 위하여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달을 쳐다 보느라 온 밤을 새우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 이러한 철새 추적 방법은 대부분 사라졌다. 현재의 레이더 장비는 매우 정교해서 철새의 종류를 구별해서 화면에 나타난 각각의 .. 冊 속의 冊 2014.12.14
철새의 체력 관리 철새들은 사막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긴 여정 동안 필요한 체력을 비축하기 위하여 이동하기 전에 집중적으로 먹는다. 휘파람새와 같은 작은 조류는 이 기간 동안 몸무게가 2배로 불러난다. 冊 속의 冊 2014.12.12
휘파람새의 국제적 감각 아프리카와 유럽 사이를 오가는 철새인 초원 휘파람새는 능숙한 흉내쟁이로서, 다른 조류의 노래로부터 따온 국제적인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조류학자들이 한 마리의 휘파람새의 노래를 분석한 결과, 200종에 달하는 다른 조류의 소리를 구별해낼 수 있었다. 그 반은 아프리카에 사는 .. 冊 속의 冊 2014.12.12
날개 달린 태양 숭배자 갈매기의 화려하고 우아한 친척인 북극 제비갈매기는 지구상의 모든 철새중 가장 장엄한 이동을 한다. 매해 가을이 되면 길이가 350mm밖에 되지 않는 이 새는 북유럽과, 북미, 그리고 그린랜드의 번식지를 떠나 남반부의 여름을 나기 위해 지구의 반바퀴를 돌아 남극권으로 이동한다. 북극.. 冊 속의 冊 2014.12.12
선인장과 그 천적 호주에 유입된 프리클리페어 선인장은 무서운 속도로 번식하여 여러 광활한 지역을 사람이나 양이 들어갈 수 없는 선인장 덤불로 뒤덮었다. 다행히 자연계는 그 해결책으로 캑토블라스티스 캑토럼이라는 선인장 나방을 마련해놓았다. 1925년 아르헨티나에 놓여진 나방의 유충이 프리클.. 冊 속의 冊 2014.12.11
풍매화의 꽃가루 어떤 식물은 바람에 의존하여 꽃가루를 퍼뜨리며 수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의 꽃가루를 생산한다. 선인장이나 꽃의 한 무리 또는 한 그루의 나무는 550만 개의 꽃가루를 만든다. 冊 속의 冊 2014.12.11
독이 있는 식물 이름 발견 장소 독성이 있는 부분 섭취 후의 결과 미나리아제비 들판 전체 소화 불량 체리 나무, 관목 잔가지. 잎 사망 그로커스 정원 구근 구토 월계수 장식용 식물 액과 사망 딱총나무 나무, 관목 잎, 수피, 햇가지 구역질 디기탈리스 정원 잎 불규칙한 심장박동 독미나리 들판 전체 사망.. 冊 속의 冊 2014.12.11
치클나무에서 껌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은 뉴욕 스태틴 아일랜드의 사진사 토머스 아담스에 의해서였다. 또 껌이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은 1848년 메인주 방골의 존 커티스에 의해서이다. 1888년 껌 판매기가 뉴욕 엘리베이티드 철도회사의 정류장에 설치되었는데 이때부터 껌 사업이 붐을 타.. 冊 속의 冊 201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