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제 절제(節制)는 쾌락에 관한 중용이다. 쾌락은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정신적 쾌락이란 명예를 좋아하는 것, 혹은 학문을 좋아하는 것 따위이다.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이나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기쁨을 느끼지만 이 기쁨은 육..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
용기 용기(勇氣)란 태연한 생각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들에 관하여 취하는 중용이다. 즉, 두려워할 만한 것을 당연한 동기에서 당연한 모양으로 당연한 때에 두려워하고, 또 태연한 마음을 가지는 일도 이와 같이 하는 사람이 용감한 사람이다. 용감한 사람은 인간으로서 가능한 만큼 겁 이..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
중용의 덕 도덕적인 덕은 그 어느 것이나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 본성적으로 존재하는 것치고 그 본성에 반대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란 하나도 없으니 말이다. 이것은 <에티케>(도덕적, 윤리적)라는 말이 <에토스>(습관)라는 말을 조금 고쳐서 만들어..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
덕의 종류 행복은 완전한 덕을 따른 정신의 활동이다. 따라서 우리는 덕의 본성을 고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행복의 본성을 더욱 잘 알게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우리가 고찰해야 할 덕은 분명히 인간적인 덕이다. 우리가 찾고 있던 선도 인간적인 선이요, 우리가 찾고 있던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
행복의 정의 선이란 다른 모든 것이 그것 때문에 행해지는 그런 것이다. 의학에서는 건강이, 병법에서는 승리가, 건축에서는 집이, 다른 어떤 영역에서는 이와 다른 어떤 것이, 그리고 모든 행동과 추구에서는 그 목적이 바로 선이다. 왜냐하면 이런 것 때문에 모든 사람은 다른 모든 것을 하기 때문이..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
아리스토텔레스(BC 384∼BC 322) 그리스 철학자이다. 스승인 플라톤이 초감각적인 이데아의 세계를 중시한 데 반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감각할 수 있는 세계를 중시하고 이것을 지배하는 모든 원인을 인식하고자 하는 유물론적 입장을 취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철학은 학문으로서의 확고한 방법적 기 ..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코스윤리학) 201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