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계는 이중성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마음은 하나를 택하고 다른 하나를
부정하고 싶어한다. 예를 들면 그대는 행복을 원한다.쾌락을 원한다. 동시에
고통을 원치 않고 불행을 원치 않는다. 그러나 고통과 쾌락 행복과 불행은
같은 현상의 이중성이다. 동전의 양면이다. 쾌락을 원하면 반드시 고통이
따르고 행복을 찿으면 반드시 불행이 따른다. 어떻게 골짜기 없는 봉우리가
있을 수 있는가? 그대가 봉우리를 사랑하면 골짜기도 함께 사랑하라.
그것은 같은 운명이다. 그러나 마음은 한쪽만을 원하고 반대쪽은 싫어한다.
사는 것을 좋고 죽는것은 싫다고 말한다. 살이 봉우리라면 죽음은 골짜기다.
삶은 죽음때문에 존재하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죽음이 사라지면 삶도
사라진다. 그러나 마음은 오직 삶만 원한다. 죽음은 싫어한다. 그래서 마음은
항상 환상속 꿈속에서 헤멘다 모든것이 반대면을 가지고 있지만 마음은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결국 마음은 피상적인 삶만 살다가 끝난다.
거기에 갈등과 싸움이 있다. 그대가 반대쪽을 동시에 원하지 않으면 싸움이
싸움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삶이 이중성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죽음도 받아들인다. 그는 봉우리를 바라보면서 골짜기도 잊지않는다.
그대가 행복을 느끼는 순간 슬픔도 느낄 것이다. 봉우리가 높을수록골짜기는
깊어진다. 그대가 높이 올라가는 만큼 깊이 떨어질 것이다. 이 우주에 영원한
오르막 길은 없다. 그대가 구도자라면 이점을 명심하라. 그러면 헛된 꿈을
꾸지 않을 것이다.
탄트라 강의 중.
'탄트라 비전(tantra vision)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가 존재한다. (0) | 2016.04.18 |
---|---|
존재의 이중성을 인식하지 않고서 진정한 이해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말라. (0) | 2016.04.14 |
결혼은 상대를 죽여서 소유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0) | 2016.04.11 |
인간은 생명을 원치 않는다. (0) | 2016.04.11 |
삶은 미지의 것이다. (0) | 2016.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