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 사실을 투표로 결정하게 되었을까?
위키피디아의 방식대로라면 우리 모두가 동의하면
그것이 사실입니다.
정말 그것으로 충분한가요? 동의만 하면? 나는
사실이란 그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이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
할까?. 과연 그것이 흔치 않은 일일까?
여론조사 결과 미국인의 압도적 다수는 법정에서
배심원단에 의해 무죄임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oj심슨이 아내를 살해했다고 믿는다. 이는 합의에
의한 사실이 아닌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자동차 회사 ceo 세명에게 묻는것은
어떤가? 이 또한 합의에 의한 사실이다.
우리가 매주 하고있는 쓰레기 재활용의 효과도
빼놓지 말자. 이것 역시 일방적 합의다.
알다시피 사실 습득이 극도로 어려워지면 불합리한
믿음이 사실의 자리를 차지한다. 때때로 이들 믿음은
거짓상관관계에 근거를 두고 있고 때로는 조작된 논리
의 결과물이며 때로는 단지 인기에 편승하여 등장한다.
하지만 사실에 대한 확고한 이해가 없으면 우리에게
닥친 거대한 위험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낼
역량도 상실하게 된다. 그대부터 지식 대신 믿음을
받아들이는 현상이 시작되는 것이다.
레베카 코스타.
'도움이 되는 글들 모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수업(퀴블러 로스) (0) | 2019.07.19 |
---|---|
테크닉을 통해 살아가는 사람들은... (0) | 2019.07.06 |
타골의 어느 이야기. (0) | 2019.05.31 |
짦은 선. (0) | 2019.05.14 |
가식을 버려라. (0) | 201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