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718

완전한 행위는 관계로부터 자유롭다.

완전한 지혜는 계획함이 없다. 현자는 순간 순간을 산다. 그는 아무 계획도 하지 않는다. 그의 삶은 하늘을 떠다니는 구름과 같이 자유롭다. 어떤 목적을 향해 가지도 않고 결정을 내리지도 않는다. 그는 미래에 대한 어떤 지도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는 지도 없이 산다. 그는 지도 없이 움직인다. 진실한 것은 목표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진실한 것은 움직임의 아름다움이 없기 때문이다. 진실한 것은 어디에 이르지 않는다. 그것은 여행이다. 기억하라. 진정한 것은 여행이며 바로 여행하는 것이다. 그것은 매우 아름답다. 왜 목적에 대해 고민 하는가? 그대가 목적지에 대해 너무 고민한다면 그대는 여행을 잃어버리고 말 것이다. 여행은 삶이다. 목적지는 다만 죽음일 뿐이다. 기억하라 진실한 것은 여행이다. 여행은 ..

장자(莊子) 2020.08.28

가장 훌륭한 예의는....

가장 훌륭한 예의는 모든 형식으로 부터 자유롭다 완전한 행위는 관계로 부터 자유롭다 완전한 지혜는 계획함이 없다 완전한 사랑은 증명함이 없다 완전한 진지함은 그것을 위해 보증함이 없다. 그러나 이 모든 완전성들은 한 가지 사실이 필요하다. 그것은 자연발생적인 자각이라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언제나 가짜 동전을 가질 것이다. 그대는 언제나 가짜 얼굴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 그대가 어떤 노력을 기울인다면 그 진지함은 다만 형식적인 것이다. 오쇼의 장자강의 중.

장자(莊子) 2020.08.28

진실하고 참된것은 언제나 자연발생적이다.

만일 어떤이가 저자거리에서 낯선이의 발을 밟으면 공손하게 사과를 하고 설명을 덧붙인다 가장 훌륭한 예의는 모든 형식으로부터 자유롭다 완전한 행위는 관계로 부터 자유롭다 완전한 지혜는 계획함이 없다 완전한 사랑은 증명함이 없다. 완전한 진지함은 그것을 위해 보증함이 없다. 훌륭한 모든 것 아름다운 것 진실하고 참된 모든 것은 언제나 자연발생적이다. 그대는 계획적으로 그것을 할 수 없다 그대가 계획을 짜는 순간 그때 모든것은 거짓으로 된다. 그러나 인류는 항상 그래왔다. 그대의 사랑 그대의 진지함 그대의 진보 그리고 모든 것은 그대가 그것을 의도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잘못되어 졌다. 그대들은 자연발생적이지 않도록 교육받아 왔기 때문이다. 그대 자신을 조작토록 조절하고 관리하도록 교육받아 왔기 때문이다. 그대 ..

장자(莊子) 2020.08.26

장자는 번갯불이다.

매우 어두운 밤 숲속에서 길을 잃은 두사람의 이야기가 있다. 그곳은 매우 위험한 야수들이 가득찬 숲이였다. 밀림으로 뒤덮여 있고 주위가 온통 어두움 뿐 이였다. 그런데 한사람은 철학자 였고 다른 한사람은 신비주의자 였다. 한사람은 의심의 사람 또 한사람은 믿음의 사람이였던 것이다. 갑자기 폭풍이 몰려 왔고 구름이 둘로 갈라지면서 굉장한 번개가 쳤다. 철학자는 하늘을 쳐다 보았고 신비주의 자는 길을 내려다 보았다. 번개가 치는 그 순간에 길이 그의 앞에 비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철학자는 번개치는 것을 바라보았고 무슨일이 일어났는가 의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길을 잃어버렸다. 그대는 이 이야기의 숲보다 더한 밀림에서 길을 잃었다. 밤은 더욱 칠흑같다. 간혹 번개의 섬광이 온다. 그때에 길을 보라. ..

장자(莊子) 2020.08.26

인간이라는 질병.

의학은 육체의 질병으로 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인간이 모든 질병으로 부터 자유롭게 되어도 인간이라는 근본적인 질병으로 부터는 자유로워지지 못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인간이라는 질병은 불가능한 것을 갈망 하는 질병이다. 인간이라는 질병은 어떤 것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질병이다. 인간이라는 질병은 그가 얻은 모든것을 하찮게 여기며 그가 얻지 못한 것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질병이다. 인간이라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바로 명상이다. 다른 모든 질병은 의사들이 치료하고 의학이 치료를 한다. 그러나 인간이라는 이 특별한 질병은 오직 명상으로만 치료가 가능하다 우리가 인간의 내면을 연구하기 시작 하는 날 의학은 완전해 질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이해하기로는 우리의 내면에 앉아 있는 병든자가 육체 차..

어느 판사의 판결....

어느 날 노자의 한 신봉자가 판사가 되었다. 법정에서 그에게 돌아온 최초의 사건은 자기가 도독질을 했다고 자백한 한사람의 도둑이였다. 이것은 확실한 것 같았다. 그 도둑은 자백하고 있었으며 훔친 물건이 발견 되었다. 그런데 노자의 신봉자는 이 사건에 대하여 매우 기묘한 접근과 태도를 취했다. 그는 도둑을 6개월간 투옥하고 그리고 그가 물건을 훔친 피해자까지 투옥했던 것이다. 물론 그 부자는 항의를 했다. 어 어찌된 넌센스란 말인가? 내 물건을 도둑 맞았는데도 어째서 내가 형벌을 받아야 하다는 말인가? 그는 세차게 반발했다. 그에 노자의 제자인 판사는 대답했다. 당신은 너무 많은 재산을 모았습니다. 만일 문제의 제일 근원까지 거술러 올라가면 이 사람이 훔치도록 만든것은 바로 당신입니다. 온 마을 사람들이 ..

노자(老子) 2020.08.25

성공이 실패로 되는 순간이 온다.

항상 중용에 머무르라. 끊임없이 방심하지 말라. 그렇지 않으면 마음의 경항이라고 하는 것은 당신이 성공하고 있을 때 어째서 좀 더 성공하려고 하지 않느냐? 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이렇게 말한다. 모처럼 성공하고 있는데 어째서 좀 더 분발하지 않느냐? 길은 분명히 아무도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째서 좀 더 분발하지 않는가? 마음은 돌진한다. 그것은 집요하다. 어쨌던 그것을 손에 넣으면 마음은 그것에 집요해 진다. 만일 그 마음이 성공 미치광이 성공이라고 하면 그때 그것은 무엇에 홀린듯이 성공의 뒤를 쫒아간다. 그것이 실추되는 곳까지 말이다. 실추되지 않는 한 그것은 쉬려고 하지 않는다. 어디까지고 어디까지고 돌진한다. 마음을 본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그것은 필요불가결한 일이다. 만일 당신이 무..

장자(莊子) 2020.08.25

인간은 새로운 근심거리를 만들어 낸다.

인간의 내면에 있는 인격을 끊임없이 그가 가지고 있지 않은 어떤것을 요구한다. 그가 가지고 있는 것은 날이 갈 수록 의미가 없어진다. 그리고 그가 이미 성취한 것은 한찮은 것이 되어 버린다. 인간은 아직 얻지 못한 것을 얻으려고 끊임없이 노력한다. 니체는 언제인가 인간을 두개의 불가능 사이에 놓여있는 다리라고 말했다. 인간은 항상 불가능 것을 얻으려고 하며 항상 완전해 지려고 한다. 모든 종교가 탄생한 것은 바로 완전해지려는 인간의 욕망때문이다. 오쇼강의 .

질병에 디하여....

질병은 반대극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사실 인간이 존재하는 상태 속에서 이미 질병이 내재되어 있다. 인간은 이미 많은 긴장 속에서 살고 있다. 다른 어던 동물도 이런 식으로 질병에 걸리거나 초조해 하지 않으며 긴장하지도 않는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다. 어떤 동물도 마음속에 다른 무엇이 되고자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개는 개다 다른것이 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인간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는 아직 사람이 아니다. 우리가 어떤 개에게 개 이하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모든 개는 동등하게 개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에는 어떤 인간에게 인간 이하라고 말 할 수 있다. 인간은 결코 완전하게 태어나지 않는다. 인간은 불완전한 상태로 태어난다. 그러나 모든 동물은 완전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완..

코랄(choral).

종교개혁이후 독일의 루터교에서 자국어로 불려지는 민요적인 노래에 가까운 찬송가이다. 루터가 이룩한 공헌 가운데 하나가 일반 신도들이 부르는 찬송가의 코랄을 만들어서 교회음악의 민중화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중세시대에 교회음악은 일반인들이 참여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였다. 즉 사제라는 특권집단의 전유물이였다. 그러나 루터는 민요와 같이 친숙한 선율에 소수의 지식인 만이 알 수 있는 라틴어가 아닌 일반인들도 알 수 있는 자국어(독일어)로 가사를 붙여 새로운 음악의 틀을 갖추었다. 그럼으로써 특권집단의 전유물이였던 교회 음악에 일반신도들이 코랄을 직접 부르며 예배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코랄은 독일의 개신교 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활을 끼치기도 했으며 이 예술은 바흐를 만나 정점에 이..

음악 이야기. 2020.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