積力之所擧(적력지소거) 積力之所擧 則無不勝也 적력지소거 즉무불승야 衆智之所爲 則無不成也 중지지소위 즉무불성야 힘을 모아 하면 이기지 못하는 것이 없고 지혜를 모아 하면 이루지 못하는 것이 없다 歌 訣 2014.01.14
安危在是非(안위재시비) 安危在是非 不在於强弱 안위재시비 불재어강약 盡美固可揚 片善亦不謁 진미고가양 편선역불알 안녕과 위대함은 옳고 그름에 달려있는 것이며 강하고 약함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다. 더없이 아름다운 것은 물론 극구 찬양해야 하지만 작은 성행도 막아서는 안된다. 歌 訣 2014.01.12
以書爲御者(이서위어자) 以書爲於者 不盡馬之情 이서위어자 부진마지정 以古制今者 不達事之變 이고제금자 부달사지변 책에 따라 말을 모는 사람은 말의 습성을 다 알지 못하고 옛 제도로 현재를 단속하는 사람은 사물의 변화에 밝지 못하다. 歌 訣 2014.01.11
求木之長者(구목지장자) 求木之長者 必固其根本 구목지장자 필고기근본 欲流之遠者 必浚其泉源 욕류지원자 필준기천원 나무가 크게 자랄것을 바란다면 반드시 그 뿌리를 견고히 해아 하고 샘물이 멀리 흐르기를 바란다면 반드시 그 원천을 소통시켜야 할 것이다. 歌 訣 2014.01.08
高者未必賢(고자미필현) 高者未必賢 下者未必愚 고자미필현 하자미필우 能者不可幣 敗者不可飾 능자불가폐 폐자불가식 높은 사람이 반드시 현명한 것은 아니며 낮은 사람이 반드시 우두누한 것은 아니다. 능력있는 사람은 덮어 감출 수 없고 능력 없는 사람은 꾸밀 수 없다. 歌 訣 2014.01.06
計功而行賞(계공이행상) 計功而行賞 程能而授事 계공이행상 정능이수사 有能則擧之 無能則下之 유능즉거지 무능즉하사. 공을 따져서 상을 주고 능력에 따라 일을 맏긴다. 능력이 있으면 천거하고 없으면 내려 보낸다. 歌 訣 2014.01.05
物必先腐也(물필선부야) 物必先腐也 而後蟲生之 물필선부야 이후충생지 人必先疑也 而後讒入之 인필선부야 이후참입지 사물은 반드시 스스로 먼저 썩고 난 후에 벌레가 생기며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먼저 의심한 후에 비방이 들어 온다. 歌 訣 2014.01.03
艱難同草創(간난동초창) 艱難同草創 得失計毫釐 간난동초창 득실계호리 千鈞勢易壓 一柱力難指 천균세이압 일주력난지 처음 창업할 대는 항상 어려우며 성공과 실패는 항상작은 것에서 결정된다. 1천균의 기세는 누르기 쉽지만 한 기둥의 힘은 지탱하기 어렵다. 歌 訣 2014.01.02
思國之安者(사국지안자) 思國之安者 必積其德義 사국지안자 필적기덕의 古人大業成 皆自憂患始 고인대업시 개자우환시. 국가의 안년을 생각하는 사람은 반드시 득의을 많이 쌓는다 옛 사람이 대업을 이룬것은 무두 우환에서 부터 시작 되었다. 歌 訣 2014.01.01
帳中看日月(장중간일월) 帳中看日月 豈能辨陰晴 장중간일월 기능변음청 隔埇聽種鼓 豈能辨宮笙 격용청종고 기능변궁생 장막 속에서 해와 달을 보고서 어떻게 흐리고 맑음을 구별할 수 있겠는가? 높은 담을 사이에 두고 종과 북소리를 듣고서 어떻게 오음과 악기를 구별 할 수 있겠는가? 歌 訣 2013.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