駑蹇服馭(노건복어) 駑騫服馭 良樂咨嗟 노건복어 양락자차 鉛刀剖截 毆冶嘆息 연도부절 구야탄식 느리고 저는 말로 마차를 끌게 하면 백락이 탄식하고 무딘 칼로 자르면 구야자가 탄식한다. 歌 訣 2014.02.18
以貌取人(이모취인) 以貌取人 失之子羽 이모취인 실지자우 周公之狀 身如斷齒 주공지상 신여단치. 용모로 사람을 판단한다면 자우 한테는 잘못이다. 주공의 용모를 보면 몸이 잘린 고목과 같다. 歌 訣 2014.02.17
人秉五材(인병오재) 人秉五材 修短殊用 인병오재 수단수용 自非上哲 難以求備 자비상철 난이구비 사람에게는 다섯가지 재누가 있는데 장단이 달라 쓰임도 다르고 성인이 아니면 완전 무결하기가 어렵다. 歌 訣 2014.02.16
輕財重氣(경재중기) 輕財重氣 卑躬厚士 경재중기 비궁후사 陳力就列 不能者止 진력취열 불능자지 재물을 경시하고 절개를 중시하며 남에게 겸손하고 예의바른 선비를 대한다. 자기의 역량을 다해 직무를 맡아야 하고 감당할 수 없으면 물러나야 한다. 歌 訣 2014.02.15
相馬以與(상마이여) 相馬以與 相士以居 상마이여 상사이거 惟其有之 是以似之 유기유지 사이사지 말을 판단하는 것은 수레로 하고 선비를 판단하는 것은 생활하는 것으로 한다. 오직 덕이 있는 사람만이 덕있는 사람을 천거할 수 있다. 歌 訣 2014.02.13
苟得其人(구득기인) 苟得其人 不患貧賤 구득기인 불환빈천 苟得其材 不患名迹 구득기재 불환명적 진실로 인재를 얻으려면 빈천한 것을 생각하지 말고 진실로 인재를 얻으려면 평판을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歌 訣 2014.02.13
群賢畢至(군현필지) 群賢畢至 少長咸集 군현필지 소장함집 明楊矗陋 唯才是擧 명양촉루 유재시거 모든 현인이 다 왔고 모든 인재가 다 모였다. 출신이 미천한 인재들을 찿아내어 오직 재능이 있는 사람만 등용한다. 歌 訣 2014.02.13
天下之要(천하지요) 天下之要 人才而已 천하지요 인재이이 不信仁賢 則國空虛 불신인현 즉국공허 천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일 뿐이다. 인자와 현인을 신임하지 않으면 나라가 공해진다. 歌 訣 2014.02.10
不蜚則已(불비즉이) 不蜚則已 一蜚沖天 불비즉이 일비충천 不鳴則已 一鳴驚人 불명즉이 일명경인 날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한번 날면 하늘을 찌를 듯 하며 울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한 번 울면 사람을 놀라게 한다. 歌 訣 2014.02.10
以言取人(이언취인) 以言取人 人飾其言 이언취인 인식기언 以行取人 人竭其行 이행취인 인갈기행 말을 근거로 해서 사람을 선택하면 사람들은 자기의 말을 수식하고 행위를 근거로 해서 사람을 선택하면 사람들은 힘을 다해 실천할 것이다. 歌 訣 201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