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군은 본래 청진하여
풍진속에서도 소새하였도다
산음현에서 도사를 만나니
그는 이 거위 좋아하는 손님을 사랑하였더라
흰 비단위를 쓸 듯이 도경을 필사하니
필적이 뛰어나고 신뵤하여 입신의 경지더라
쓰기를 마친 뒤 거위를 채롱에 넣어 가지고 가니
어찌 새삼스럽게 주인에게 이별을 고하랴.
右軍本淸眞 우군본청진
蘇笹在風진 소세재풍진
山陰遇羽客 산음우우객
愛此好娥賓 애차 호아빈
掃素寫道經 소소사도경
筆精妙入神 필정묘입신
書罷籠餓去 서파농아거
何曾別主人 하증별주인.
이백.
풍진속에서도 소새하였도다
산음현에서 도사를 만나니
그는 이 거위 좋아하는 손님을 사랑하였더라
흰 비단위를 쓸 듯이 도경을 필사하니
필적이 뛰어나고 신뵤하여 입신의 경지더라
쓰기를 마친 뒤 거위를 채롱에 넣어 가지고 가니
어찌 새삼스럽게 주인에게 이별을 고하랴.
右軍本淸眞 우군본청진
蘇笹在風진 소세재풍진
山陰遇羽客 산음우우객
愛此好娥賓 애차 호아빈
掃素寫道經 소소사도경
筆精妙入神 필정묘입신
書罷籠餓去 서파농아거
何曾別主人 하증별주인.
이백.
'고문진보(古文眞寶)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유공권연구(足柳公權聯句) 소동파. (0) | 2012.11.04 |
---|---|
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 이백 (0) | 2012.11.04 |
歸田圓居(귀전원거) 도연명. (0) | 2012.11.04 |
우인회숙(友人會宿) 이백 (0) | 2012.11.04 |
자야오가(子夜吳歌) 이백 (0) | 201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