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고의 시름을 척탕하고자
유련하여 백호의 술을 마시노라
이 좋은 밤 담소하기 좋고
달이 밝아 잠을 이루기 어렵구나
취하여 공산에 와 누우니
천지가 곧 금침이로세.
滌蕩千古愁 척탕천고수
留連百壺飮 유련백호음
良宵宜且談 양소의차담
皓月未能寢 호월미능침
醉來臥空山 취래와공산
天地卽衾枕 천지즉금침
이백.
유련하여 백호의 술을 마시노라
이 좋은 밤 담소하기 좋고
달이 밝아 잠을 이루기 어렵구나
취하여 공산에 와 누우니
천지가 곧 금침이로세.
滌蕩千古愁 척탕천고수
留連百壺飮 유련백호음
良宵宜且談 양소의차담
皓月未能寢 호월미능침
醉來臥空山 취래와공산
天地卽衾枕 천지즉금침
이백.
'고문진보(古文眞寶) '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王右軍(왕우군) 이백 (0) | 2012.11.04 |
---|---|
歸田圓居(귀전원거) 도연명. (0) | 2012.11.04 |
자야오가(子夜吳歌) 이백 (0) | 2012.11.04 |
유자음(遊子吟) 맹교, (0) | 2012.11.04 |
왕소군(王昭君) 이백 (0) | 201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