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임금 여색 중히 여기어 뛰어난 미인 생각하였으나
천하를 다스린지 여러해 되도록 구하지 못하고 있었네
양씨 집안에 딸 막 장성하였는데
깊은 규방에서 자라 아무도 알지 못하였네
하늘이 낸 고운 자질은 스스로 버리기 어려운 것이니
하루 아침에 뽑히어 임금 곁에 있게 되었네
머리 돌려 한번 웃으면 갖가지 아리따움 피어나니
여섯 궁전의 곱게 단장한 후궁들 얼굴 빛 잃게 되었네
봄날씨 쌀쌀한 때 화청지에 목욕하게 하였는데
온천물은 매끄럽게 엉긴 기름같은 살갖 씻겼네
시중하는 아이 부축해 일으켜도 아리땁게 힘 없었으니
처음으로 천자의 은총 받던 때였네
구름같은 머리에 꽃같은 얼굴 황금 머리장식으로
부용 수놓인 따뜻한 장막안에 봄밤을 보냈는데
봄밤 너무나 짧아 해 어느덧 높이 뜨니
이로부터 임금은 아침조회 보시지 않았네
기꺼움 받들어 잔치 시중하기에 한가한 틈 없어
봄이면 봄따라 놀고 밤이면 밤을 함께 하였네
후궁엔 아름다운 여자 3천명인데
3천명 중에 총애를 한몸에 받았네
황금방에서 화장하고는 아리땁게 밤시중 들고
옥누각의 잔치 파하면 취하여 봄처럼 화합하였네
형제자매들 까지도 모두 땅을 봉해 받으니
아름다운 광채가 집안을 빛나게 하여
마침내 세상 부모들 마음으로 하여금
아들 낳는것 중히 여기지 않고 딸낳는것 중히 여기게 하였네
여산 별궁 높은 꼭대기는 푸른 구름 위로 솟았고
신선의 음악 바람에 실려 곳곳에 들렸네
느린 곡조의 노래와 조용한 춤엔 현악기 관악기 소리 곁들이고
종일토록 임금은 만족할 줄 모르고 쳐다 보았네
갑자기 어양땅에 반군 일어나 북소리 땅을 울리도록 치며 몰려와
임금 즐기던 예상우의곡 가락을 놀라 깨어지게 하였네
구중궁궐에 연기와 먼지 일어나고
수천의 수레와 수만의 기병 호위하는 임금 행렬 가다가는 다시 멋엇으니
도성문 서쪽으로 나와 백여리 되는 곳이였네
온 군사들 나아가지 않고 나라를 망친 책임추궁 하니 어쩌는 수 없이
아름다운 양귀비는 군사들 말 앞에서 죽었네
꽃비녀 땅에 떨어져도 거두는 사람 없었고
비취장식 금 머리꽃이 옥 머리장식이 모두 버려졌네
임금도 얼굴 가린채 구해내지 못하여
머리 돌릴적엔 피눈물이 함께 섞여 흘렀다네
누런 먼지 자욱하고 바람 쓸쓸한데
높은 사다리 꾸불꾸불 사천가는 검각을 올라갔네
아미산 아래는 다니는 사람 적고
깃발들은 빛 잃고 햇빛도 잃었네
촉땅 강물 푸르고 촉 땅 산도 파란데
임금님은 아침이나 저녁이나 양귀비 그리는 정이였네
파란 땅 궁전에서 보는 달은 마음 아프게 하는 빛이였고
밤비속에 드는 빗방울 소리는 창자 저미는 소리였네
하늘 들고 땅 굴러 세상 바뀌자 수레 돌려 돌아오는데
양귀비 죽은곳에 이러러는 머뭇머뭇 떠나지를 못하였네
마외파 아래 진흙속에
옥같은 얼굴 뵈지 않고 부질없이 죽은 곳만 있네
임금과 신하들 서로 돌아보며 옷깃만 적시며
동녁 도읍 문 향해 말에 몸 맡긴 채 돌아왔네
돌아와 보니 못과 정원 모두 예와 같아
태액 못 연꽃이며 미양궁 버느나무 여전했네
연꽃은 그리운 얼굴 같고 버들잎은 눈썹 같으니
이를 보고 어이 눈물 아니 흘리랴?
봄 바람에 복숭아꽃 오얏꽃 핀 밤이나
가을비에 오동잎 지는 때면 그리움 더욱 사무쳤네
상황되어 사는 서궁과 남원에는 가을 풀만 무성하고
낙엽이 섬돌 가득히 떨어져 붉어도 쓸지 않았네
이원의 악공들도 흰 머리 돋았고
황후의 궁전 궁녀들의 젊던 모습도 이젠 늙었네
저녁 궁전에 반딧불이 날면 그리움 더욱 처연해져서
외로운 등불 심지 다 타도록 돋우며 잠 못이루네
느릿느릿 시각 알리는 북소리는 긴 밤의 시작 알리고
훤한 은하수는 새벽하늘에 걸려 있네
암키와 숫기왔장 싸늘한데 서릿발 짙고
비취새 수놓인 이불 찬데 누구와 더불어서 자야 하나?
아득히 삶과 죽음의 해를 넘기게 되어도
혼백 조차도 한번 꿈에 나타나 주지 않았네
임공 땅의 도사 홍도객이란 사람은
정신으로 혼백을 부룰 수 있다하네
상황께서 잠못이루고 뒤척이는 사랑에 감동하여
마침내 도사로 하여금 정성껏 찿아보게 하였네
바람을 밀치고 기운을 몰고 번개처럼 달리어
하늘로 올라가고 땅속으로 들어가고 하여 두루 찿았네
위로는 하늘 끝 아래로는 황천까지 다 뒤졌으나
어느곳에도 아득히 전혀 보이지 않았네
문득 바닷속에 신선들 사는 산이 있는데
산은 허무하고 까마득한 거리에 있다는 말 들었네
누각과 궁전 영롱하고 오색구름 이는데
그 속에서 아리다운 선녀들 많다고 하네
그 속에 한사람 있는데 자는 태진이고
눈같은 살갗 꽃같은 모습이 거의 비슷하다 하네
금장식한 문 달린 서쪽 행랑채로 가서 옥문 빗장 두드리고
하녀 소옥에게 말하게 하니 다시 하녀 쌍성에게 알리네
당나라 천자의 사신이 왔다는 말 듣고
화려한 장막 안에서 꿈꾸던 혼령이 놀랐네
옷자락 끌어 올리며 배게 밀치고 일어나 서성거리고 있는데
구슬발 은병풍이 한겹한겹 열려지네
구름같은 머리 기울어져 잠자다 방금 깬 모습이요
꽃머리 장식 매만지지도 않은 채 대청을 내려왔네
바람에 불리어 선의 소맷자락 펄럭 펄럭 날리니
마치 예상우의무를 추는 둣하네
옥같은 얼굴 쓸쓸히 눈문 줄줄 흐르니
배꽃 한 가지가 봄비에 젓는 듯 하네
정을 머금고 응사하는 눈으로 임금님께 감사드리며 말 하였네
한번 성상을 이별하자 서로 까마득하게 되었으니
소양전에서 받든 은총은 끊어지고
신선사는 궁중안은 세원만이 길답니다.
머리 돌려 아래쪽 사람들 사는 고장을 바라 보아도
장안은 보이지 않고 먼지와 안개만 자욱 하답니다.
다만 옛 물건으로 깊은 정 표시하고자 하여
자개 상자와 금비녀를 보내 드리고자 합니다.
비녀는 한가닥 남기고 상자는 한 쪽 남겼으니
비녀의 황금 쪼개지고 상자의 자개 깨어졌지만
오직 마음만 금이나 자개처럼 굳게 가져 준다면
하늘 위나 세상에서 반드시 만나게 될 것입니다.
따나올 때 은근히 거듭 말을 전하는데
말 가운데 맹세 있어 두 마음만이 안다네
7월 칠석날 장생전에서
밤중 아무도 없는 곳에서 속삭일 때
하늘에선 나래 붙은 두마리 새 되고
땅에선 가지 붙은 두 나무 되자 하였다네
하늘 영원하고 땅은 오래 간다해도 다하는 때 있을 것이나
이 한만은 끊임없어 다할 날 없으리라.
(긴 한을 노래함. 당의 현종의 양귀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시.)
'고문진보(古文眞寶)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할 적의 사귐. 두보. (0) | 2015.10.07 |
---|---|
육가. 문천상. (0) | 2015.10.05 |
강남에서 천보 연간의 악공을 만난 노래. 백거이. (0) | 2015.10.02 |
천육표기의 노래. 두보. (0) | 2015.09.28 |
이조의 팔분소전을 노래함. 두보. (0) | 201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