得賢則昌(득현즉창) 得賢則昌 失賢則亡 득현즉창 실현칙망 得士者强 失士者亡 득사자강 실사자망 현인을 얻으면 창성하고 현인을 잃으면 패망한다. 현사를 얻으면 강성해 지고 현사를 잃으면 패망한다 歌 訣 2014.03.16
蘭蕙不采(난해불채) 蘭蕙不采 無異逢蒿 난혜불채 무이봉호 干將不試 世比鉛刀 간장불시 세비연도 난초와 혜초도 따지 않으면 쑥과 다름 없고 간장검도 사용하지 않으면 세인들이 무딘 칼로 본다. 歌 訣 2014.03.15
鐵中 錚錚(철중쟁쟁) 鐵中錚錚 傭中僑僑 철중쟁쟁 용중교교 十步之間 必有茂草 십보지간 필유무초 쇠중에는 날카로운 것이 있고 보통사람중에는 뛰어난 사람이 있다 열발자국 안에는 반드시 향기로운 풀이 있다. 歌 訣 2014.03.13
和氏之壁(화씨지벽) 和氏之壁 不能無瑕 화씨지벽 불능무하 隨候之珠 不能無賴 수후지주 불능무뢰 화씨의 구슬도 하자가 없을 수 없으며 수후의 진주도 결함이 없을 수 없다. 歌 訣 2014.03.12
才生於世(재생어세) 才生於世 世實須才 재생어세 세실수재 式夷式夷 無小人殆 식이식이 무소인태 인재는 세상에 의해 만들어지며 세상도 확실히 인재를 필요로 한다. 전직한 사람을 등용하면 국가가 흥성하고 소인의 해독이 없게 된다. 歌 訣 2014.03.11
錄人一善(녹인일선) 錄人一善 則無棄人 녹인일선 즉무기인 采材一用 則無棄材 채재일용 즉무기재 사람을 한가지 장점으로 등용하면 버려진 사람이 없기 되고 목재를 한가지 용도로 채용하면 버려진 목재가 없기 된다. 歌 訣 2014.03.10
蒿蓬代柱(호봉대주) 蒿蓬代柱 大廈顚付 호봉대주 대하전부 鹽車之下 有完驥乎 염거지하 유완기호 쑥으로 기둥을 대신 하였으니 큰 집이 곧 무너질 것이다. 준마로 소금 수레를 끄는데 준마가 어찌 성하겠는가 歌 訣 2014.03.09
伯樂相馬(백락상마) 伯樂相馬 取之於瘦 백락상마 취지어수 聖人相士 取之於疎 성인상사 취지어소 백락이 말을 볼때는 언제나 수척한 말 중에서 준마를 뽑았고 성인이 선비를 볼 때는 언제나 관계가 소원한 사람 중에서 뽑았다. 歌 訣 2014.03.08
大木爲妄(대목위망) 大木爲妄 細木爲恪 대목위망 세목위각 明珠經寸 豈勞彈雀 명주경촌 기로탄작 큰 나무는 들보가 되고 가는 나무는 서까래가 된다. 명주의 직경이 1촌인데 어찌 참새를 쏘는데 사용하겠는가. 歌 訣 2014.03.07
有粟不食(유속불식) 有粟不食 無益於饑 유속불식 무익어기 睹賢不用 無益於削 도현불용 무익어삭 밥이 있는데 먹지 않으면 굶주림에 도움이 안되고 현인을 보고도 등용하지 않으면 국가는 곧 쇠퇴하게 된다. 歌 訣 201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