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길은 없지만.... 어쩌면 고래와 돌고래는 자신들의 진화와 인간의 진화 과정에 대해 알고 있을지 모른다. 또 어쩌면 그들은 우리와 그들이 그렇게 다른 존재로 진화한 것에 대해 알고 있을 지도 모르고 시간이 아닌 바다에 근거해 가장 진화한 존재는 바다의 정신을 가장 많이 간직한 생물이라는 이론을 ..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10
바다는 ..... 이처럼 야생성이 아른아른 빛나고 돌고래와 고래를 통해 노래하는 바다에게 현대사회는 황량하고 유독 하며 소리없는 황무지라는 오명을 씌웠다. 온도에 매우 민감한 산호는 탈색되고 그 다채로운 색을 품은 해조는 사라지고 죽어가는 등 기후변화로 고통스러워 한다. 수백년 또는 수천..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09
바다에 민감한 많은 부족들 처럼. 바코족은 돌고래에 대해 특별한 존경심을 품는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돌고래는 신의 시종이였고 실로 신들은 가끔 돌고래의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 내기도 했다. 음악의 신 아폴로는 가끔씩 돌고래로 변신했으며 히스컷 위리엄스의 지적처럼 델포이 신탁소(elphic oracle)는 돌고래(dolphin)..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08
바조족에게 바다는 존경의 관계를 표상한다. 바다는 지식과 이해의 장소다. 바조족에게 바다는 성격과 도덕성을 지닌 살아있는 존재고 그들은 탁 트인 바다의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의 자유를 태생적 권리로 여긴다. 그들은 우리는 자유를 소중히 여깁니다. 라고 말한다. 바다는 텅 빈 황무지이기는 켜녕 충만하고 때로는 작난스럽고..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05
완벽한 것이란.... 완벽한 것이란 끝과 종료 , 불변의 것 , 절대적이고 고정된 것이다. 완벽한 것은 죽은 것이다. 그러나 야생성과 생명은 변화무쌍하고 변이되기 쉬우며 불완전한 경향을 보인다.가장 먼져 타락한 불완전한 이브는 어둡고 축축하고 야생적인 세계 에서 우리에게 생명을 주었다. 진화는 결코..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03
야생. 야생의 개념은 복잡한 역사를 거쳐왔다. 야생에는 안전한 인류사회의 벽 너머에 존재하는 무시무시하고 지독한 본성을 품은 야만인 같은 혼란의 부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야생의 자연은 지상의 낙원을 암시히기도 했다. 야생의 자연은 낙원이자 뱀이였으며 그 둘을 가르는 ..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3.02
지도에는 완전무결함이 존재한다. 땅은 완성되고 끝나고 종료되었다. 그 안에 남은 생명은 없다. 그러나 야생성은 스르르 빠져나와 지도와 그물 사이를 헤엄친다. 야생의 세계는 놀라울 정도로 사차원적이라 잡을 수 없다. 특히 물의 야생성은 지도화가 불가능하며 붙잡으려고 달려드는 지도제작자의 손가락 사이로 빠져 ..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2.26
고래무리는 노래한다. 평생동안 즉흥적으로 노래하고 가장 진실한 블루스를 부른다. 바다의 정신은 바다의 재즈 파란색 청록색 감색의 진정한 랩소디로 불린다. 흑등고래의 노래는 재미있기도 하다. 재빠른 농담뒤로 낮고 풍부한 첼로의 현 소리 찿고 열망하는 무한한 슬픔의 긴 음표 그리고 더블베이스의 현..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2.22
아마도 고래는..... 잘은 모르겠지만 아마도 고래는 빙하가 녹고있는 현상에 대해 토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델피니즈(돌고래 언어) 에는 야생성과 자유에 대한 단어가 있을 수 있고 돌고래 수족관에 갖힌 이래 생겨난 감옥에 대한 새로운 단어도 있을 수 있다. 그들은 바다에 대해 얼마나 많은 단어를 사용..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2.21
공기와 물은 어쨋거나 둘다 산소를 포함한다. 그 둘 사이에는 숨쉬기 문제보다 더 절대적인 차이가 존재 하는 것 같다. 그 절대적인 차이는 정신의 문제이다. 어떠한 정신도 건조한 섬으로 고립되었다고 믿을 수 없는 이 아래 바닷속에서 당신은 정신이 확산되는 감각 개별 정신을 제한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강화하는 참여 의 .. 자연보호관련글.인디언의철학 2019.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