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5718

오쇼의 신심명 강의 중.

遣有沒有 견유몰유 從空背空 종공배공 多言多慮 다언다려 轉不相應 전불상응 絶言絶慮 절언절려 無處不通 무처불통 사물의 실재를 부정하면 그것들의 실체를 놓치고 사물의 공을 가리면 그것들의 실체를 등지느니라 진리에 대하여 말이 많고 생각이 많으면 진리로 부터 더욱 멀리 헤메이리라 따라서 말과 생각을 멈추면 모를 것이 없느니라. 오쇼의 신심명 강의 중.

명상글 2020.08.07

오르페오(L, orfeo, 오페라)

그리스 신화인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는 그 오래전부터 오페라의 제재로 활용되어 왔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인 "에우리디체"도 이를 소재로 하고 있다. 알렉산드로 스트리치오의 이탈리아어 대본에 곡을 붙인 것으로 1607년의 만토바 궁전에서 초연되었다. 반주에 대관현 악을 쓴 최초의 오페라이기도 하다. 제1막은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의 사랑을 축복하는 님프와 양치기들의 합창과 춤이 아름다운 들판에서 어우러진다. 제2막 관현악이 개막을 알리고 오르페오와 양치기 들이 계속해서 들판을 누비며 기쁨을 노래하고 있을 때 에우리디체가 독사에 물렸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오르페오가 부른 아리아 가 유명하다. 제 3막에서 저승으로 에우리디체를 찿아 나선 오르페오는 사랑하는 에우리디체를 돌려 달라고 아리아 를 부르며 호소..

음악 이야기. 2020.08.06

근대 음악의 절대적인 공헌자 몬테베르디.

의사의 아들로 크레모나에서 태어난 그는 그곳에서 대위 작곡법 등을 배웠으며 마드리갈 (14~16세기에 성행했던 이탈리아의 성악) 위주의 작품을 썼다. 그 후 만토바로 간 그는 1950년부터 만토바 공의 가수 비올 연주자로 활약했으며 1592~1605년사이에 마드리갈 3~5집을 반표했다. 그 당신 오페라 창시기에 해당하며 음악의 혁신은 시도 하는 많은 이탈리아의 진보주의 음악가들과 교제하면서 영향을 받기에 이른다. 1600년경 궁정음악장이 된 그가 오르페오(1607년) 아리안나(1608년) 을 발표하면서 활동에 박차를 가할 무렵인 1607년 아내 클라우디가 두 아들을 남겨두고 세상을 떠난다. 1612년에는 만토바공인 빈센초 1세가 사망하자 그는 만토바를 떠나 베네치아로 갔다. 1613년 베네치아의 산 마르..

음악 이야기. 2020.08.06

르네상스 음악.

중세와 근세사이 14세기 경에서 16세기 경에 이르는 르네상스는 서유럽문명사에서 일어난 문예부흥을 말하는데 음악에 있어서는 대체로 16세기 전반을 걸쳐 발달한 단성음악 양식의 시기를 말한다. 중세의 교권지배에서 인간성을 회복하는 시민계급 중심의 자유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정신을 기초로 하여 학문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과학과 예술분야에서 대단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학문과 문화의 눌라운 발전은 음악에도 영향을 미쳐서 작곡가들은 심미적인 인본주의 작품을 만들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르네상스의 음악은 주로 이탈리아에서 발달 했는데 그 방법에 있어서는 로마와 베네치아가 조금 다르다. 르마에서는 교회음악이 현저하게 발달했으며 오라토리오에 있어서도 크게 발달하였다. 베네치아에서는 주로 세속적인 음악과 기..

음악 이야기. 2020.08.06

종교적 지배를 받은 중세음악.

중세는 봉건사회제도의 지배하에 있던 그리스도교 사회로써 정치 문화에 있어서 강력한 지배를 받던 시대였다. 중세기의 음악사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의식과 결부시킨 성가로 시작한다. 그러므로 중세기에 유럽 음악이 발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그리스도교를 들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스도교는 그 모태가 된 유대교의 영향도 있지만 그 밖에 음악을 존중하여 초기단계부터 독특한 의식음악을 발젼시켰던 것이다. 중세음악은 대체로 로마네스크 음악 고딕음악 세속음악 등으로 크게 구분한다. 젊음을 위한 교양 중.

음악 이야기. 2020.08.06

고대 음악.

고대 음악의 시작을 알기 위해서는 문명의 발상지인 국가들 즉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중국 인도 등을 먼져 찿아볼 수 있다. 이들 지역의 고대 국가들의 음악은 종교의식과 연관된 것들이고 그 이외에는 궁정에서 향연이나 오락등을 위한 것과 전쟁에 사용하기 위한 음악들이다. 이 시대의 음악은 화성도 대위법도 없는 단선률로써 그 선율도 아주 소박한 것이 였다. 특히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지방 에는 기원전 4,000년경에 벌써 매우 수준높은 음악이 있었다. 이들은 하프와 플류트 종류 그리고 타악기등을 사용했고 이집트 지방에서는 bc 3,000 년경에 일종의 관현악도 행해졌다.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보다 약 1,000년 늧게 유대에서는 음악이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달하여 bc 1,000년경 즉 다윗왕이나..

음악 이야기. 2020.08.06

행복이란?

사람들은 행복을 저 멀리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혹은 행복은 추구해야 할 목표 이거나 또는 성공한 사람들에게만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 쉽다. 그러나 그런 행복에의 추구는 달성되자 마자 금방 허무감을 준다. 영원한 행복을 원하는가? 행복은 만물을 사랑하고 측은하게 여기는 자비의 마음 그 자체이다. 오쇼라즈니쉬 강의 중.

오쇼의 신심명 강의중.

遣宥沒宥 견유몰유 從空背空 종공배공 多言多慮 다언다려 轉不相應 전불상응 絶言絶慮 전언절려 無處不通 무처불통 to deny the reality of things is to miss their reality to assert the emptiness of things is to miss their reality the more you talk and think about it the further astray you wander form the truth stop tlaking and thinking and there is nothing you will not be able to know. 사물의 실체를 부정하면 그것들의 실체를 놓치고 사물의 공을 따르면 그것들의 실체를 등지느니라 진리에 디하여 말이 많고..

초인은 누구인가?

사람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매안 데에는 이유가 있다. 예수는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끼에 했다. 사람들은 정확한 이유도 없이 소크라테스를 독살했다. 소크라테스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사람들은 당혹하게 만들었다. 어떤 방식으로든 우월함을 참아낼 수 없는 것이다. 군중들은 참을 수 없었다. 소크라테스는 제거되어야 했다. 그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끼게 했다. 그는 그대에게 열등감을 심어주기를 원치 않았으며 자기만큼 뛰어난 존재가 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 예수 만수르 같은 인물이 존재할 때 그대는 갑자기 자신이 피그미족 처럼 작게 느껴진다. 짜라투스트라는 옳다. 원숭이는 인간에 대해 무엇인가? 웃음거리든가 그렇지 않으면 비통한 치욕이다. 마찬가리로 인간은 초인에 대해 웃음거리거나 비통한 치욕이다..